Rational ClearCase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로컬과 원격의 두 가지 클라이언트를 제공합니다. 각 클라이언트는 소스 제어 파일 시스템 오브젝트를 액세스하는 데 다른 메커니즘을 지원합니다. 두 클라이언트 모두 그래픽과 명령행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.
다음 표는 두 클라이언트의 중요한 특성을 요약합니다.
표 1.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ClearCase 클라이언트의 특성클라이언트 |
네트워크 연결 유형 |
소스 제어 오브젝트의 저장소에 연결 |
보기 유형 |
사용자 인터페이스 |
ClearCase 로컬 클라이언트(CCLC) |
LAN 전용 |
VOB(Versioned Object Base)로의 RPC 연결 |
|
- GUI: CTE(ClearTeam Explorer)
- CLI: cleartool
|
CCRC(ClearCase Remote Client) |
WAN 및 LAN |
CCRC WAN 서버를 통한 VOB으로의 HTTP 연결 |
|
- GUI: CTE(ClearTeam Explorer)
- CLI: rcleartool
|
보기라는 용어는 이 표에서 사용된 대로 VOB에서 버전을 액세스하는 메커니즘을 참조합니다. 예를 들어 스냅샷, 자동 및 웹 보기는 복사 기반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반면 동적 보기는 VOB 스토리지에서 실시간으로 직접 버전을 액세스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.
보기 용어의 다른 규정은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통제하는 구성 관리 모델을 참조합니다.
이 두 가지 모델은 기본 ClearCase와 UCM(Unified Change Management)이라고 합니다.
- 기본 ClearCase 보기에서는 버전 선택, 분기화 등에 대해 규칙을 사용하여 구성을 명시적으로 지정합니다.
- UCM 보기에서는 보기에서 사용되는 스트림을 기반으로 하는 ClearCase 오퍼레이션에 의해 구성이 생성됩니다.
다음 주제에서는 두 클라이언트에 공통인 ClearTeam Explorer GUI를 사용하여 ClearCase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. cleartool 및 rcleartool 명령행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는
Rational ClearCase 명령 참조의 내용을 참조하십시오.